▎DOI

https://doi.org/10.47527/JNAH.2025.08.13.231

 

▎목차

Ⅰ. 서론 

Ⅱ. 선행 연구 검토

Ⅲ. 연구 문제 

Ⅳ.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방송 선정 및 프로그램 표집

   2. 교육프로그램의 유형 다양성

   3. 교육프로그램의 전문가 다양성

   4. 교육프로그램의 주제(과목) 다양성

   5. 시청자 연령대 다양성

   6. 연구보조자 훈련 및 코더 간 신뢰도 검증 

Ⅴ. 연구 결과 분석

   1. <연구 문제 1>에 대한 분석 결과

   2. <연구 문제 2>에 대한 분석 결과

   3. <연구 문제 3>에 대한 분석 결과 

Ⅵ. 결론 및 논의

 

▎국문요약

본 연구는 나폴리 (Napoli, 2001)의 미디어 다양성 이론을 적용하여, 한국(EBS1, EBS2), 러시아(PTCH, ZTV), 우즈베키스탄(MVM, FLTV)의 교육방송 프로그램을 소스, 내용, 노출 다양성 측면에서 비교⋅분석하고, 우즈베키스탄 교육방송의 개선 방향 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24년 11월 1일부터 30일까지 14일간 편성된 총 2,631개의 방송 프로그램을 코딩하고, 그 중 교육프로그램 839개를 대상으로 SPSS 27.0을 활용해 빈도 및 교차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FLTV는 교육프로그램이 전체의 62.6%를 차지하며 가장 높은 비중을 보인 반면, MVM은 11.2%로 가장 낮았다. 주제별로는 한국과 러시아 채널이 다양한 과목 중심으로 구성된 데 비해, 우즈베키스탄 채널은 문화, 예체능 또는 외국어 중심으 로 편중되었으며, 시청자 연령대 또한 제한적으로 나타났다. 프로그램 모델은 한국과 러시아 채널에서 참여학습형이 주를 이루었고, 우즈베키스탄은 학습도구형 중심이었 다. 전문가 구성에서는 대부분 전문 강사 위주였으며, ZTV는 게스트 전문가 비율이 높았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우즈베키스탄 교육프로그램은 콘텐츠 확대, 다양한 교육 모델 도입, 전문가 구성의 다양화, 연령대 확장, 인프라 및 정책적 지원 강화가 필요함을 제언한다. 향후 연구에서는 장기적 설계와 실증적 연구 및 정책 결정자 인터뷰를 병행할 필요가 있다.

 

▎주제어

교육방송, 교육프로그램, 소스 다양성, 내용 다양성, 노출 다양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