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투고논문은 다음과 같은 작성방식에 따라 투고되어야 한다.
1. 논문작성언어  논문의 작성언어는 한국어, 영어, 일본어, 중국어, 러시아어로 작성 할 수 있으며, 한자를 섞어 사용할 수 있다. 단, 한국어 외의 다른 언어로 작성한 논문은 반드시 국문요약을 첨부한다.
2. 원고분량   투고 논문의 양이 200자 원고지 150매(각주 및 참고 문헌 목록 포함)를 초과할 경우, 초과분에 대해서는 간행 실비를 부담한다. 초과 비용은 편집위원회에서 결정한다.
3. 작성프로그램 및 접수방법   논문은 컴퓨터 워드프로그램인 “글”을 사용하여 가로쓰기로 작성한다. 접수는 홈페이지에서 온라인으로 접수한다.
4. 논문의 체제   1) 논문의 체제는 제목, 필자명, 목차, 국문요약, 국문주제어, 본문(서론·본론·결론), 참고문헌, 영문요약, 영문 Key-Word의 순서로 작성한다. 국문요약
       과 영문요약에는 각각 주제어(Key Word) 5개 이상 명시해야 한다.

  2) 항목번호 부여 순서는 다음과 같이 한다.
   (1) 1단계 : Ⅰ, Ⅱ, Ⅲ
   (2) 2단계 : 1, 2, 3
   (3) 3단계 : 1), 2), 3)
   (4) 4단계 : (1), (2), (3)
   (5) 5단계 : ①, ②, ③
5. 연구비 수혜논문   논문에 대한 특별한 설명이나 연구비 수혜 논문임을 밝힐 경우, 논문제목 우측에 별표(*)를 표시하고 구체적 내용을 각주로 밝힌다.
6. 외국어 표기   1) 한문 기타 외국어를 사용할 경우 한글병기를 원칙으로 한다. 이때 한글을 먼저 쓰고 괄호 안에 해당 언어를 병기한다.    제천(祭天), 신석기시대(新石器時代, The Neolithic Age)
  2) 외국어는 현지발음 표기를 원칙으로 하되, 한자음독이 자연스러운 경우 한자음독(한자) 형식의 표기를 허용한다.    스사노오노미고토(須佐之男命), 하가점하층문화(夏家店下層文化)
  3) 한자는 번체자 정자를 사용한다.
7. 본문 내 인용   1) 인용문
    (1) 본문에서의 인용문은 큰 따옴표(“ ”) 속에 쓰고, 본문에서 분리하여 따로 문단으로 구성한 인용문은 큰 따옴표를 쓰지 않는다. 구 단위 이하의 인용문,            강조문은 작은 따옴표(‘ ’) 속에 쓴다.

    (2) 생략을 표현할 때는 말줄임표(…)를 사용한다.

  2) 인용문헌
    (1) 단행본, 문집, 신문, 잡지, 학위논문, 장편소설, 서사시, 전집류의 이름은 겹낫표(『 』)로 표시한다.

    (2) 작품명, 논문명(학위논문을 제외한 논문), 설화(문헌 및 구전) 제목, 단행본 속 소제목, 독립된 글의 제목 등은 낫표(「 」)로 표시한다. 더불어,
           꺽쇠(〈 〉)도 쓸 수 있다.
8. 표와 그림   표와 그림, 사진 등 형태로 보여지는 자료는 상단에 일련번호와 제목을 붙이며, 꺽쇠(〈 〉)를 사용한다.           〈자료 1〉만발발자 유적 위치, 〈표 2〉3기 구역별 유구 일람,〈그림 10〉지리산 법계사 산신각 산신도
9. 각주    1) 저자명 표기
    (1) 저자명이 동양일 경우 성, 이름 순으로 표기하며 서양일 경우 성(Last name), 이름(First Name), 중간이름(Middle Name) 순으로 표기한다.
          저자명 뒤에 쉼표를 찍는다.
     최몽룡, 
     徐光冀,
     加藤瑛二,
     Diamond, Jared M.,

    (2) 저자가 여럿일 경우에는 3명까지 나열한다. 저자 이름의 순서는 표지에 표기된 순서대로 한다. 
     ① 동양 이름의 경우 저자와 저자 사이에 가운데점( · )을 찍는다.      최몽룡 · 이헌종 · 강인욱 
      ② 서양 이름의 경우 첫 번째 저자는 성, 이름, 중간이름 순서로, 두 번째 이후 저자는 이름, 중간이름, 성 순서로 표기한다.
            2명의 경우 ‘저자 and 저자’로, 3명의 경우 ‘저자, 저자 and 저자’의 형식으로 표기한다.     Deo, S.B, and Jamkkedkar, L.W., 
     Larichev, V., Uriy Khol'ushkin, and I. Laricheva.,

   2) 출전표기
    (1) 원전
     ① 널리 알려진 고전의 경우 저자명을 생략한다.

     ② 서명, 권(또는 책), 연도, 간지(또는 항목) 순으로 하되, 숫자는 아라비아숫자로 표기하고, 간지는 한자를 그대로 살려준다. 원문내용은
           큰 따옴표(" ")로 표기한다. 편명이 있을 경우 ‘서명-편명’순서로 표기 하되, 서명에는 겹낫표(『 』)를 쓰며, 편명 기타 소 항목은 낫표(「 」)를 쓰지             않는다.      『세종실록』卷100, 세종25년(1443) 6월29일 壬子, 禱雨于雩祀風雲雷雨 三角,白岳,木覓,漢江,又行聚巫僧徒, 蜥蜴祈雨.
     『三國志』卷30, 魏書 高句麗傳, “ 句麗作國 依大水而居 西安平縣北有小水 南流入海 句麗別種 依小水作國 因名之爲小水貊 出好弓
                  所謂貊弓 是也.


   (2) 단행본
     ① 단행본의 출전 표기는 ‘저자명, 서명, 출판사명, 출판년도, 인용쪽수’ 순으로 쓴다. 서명에는 겹낫표(『 』)를 쓴다. 영문으로 된 경우 순서는
           동일하되 서명은 이탤릭체로 표기한다.       임재해, 『고조선문명과 신시문화』, 지식산업사, 2018, 52~53쪽.
      Harari, Yuval Noah., Sapiens: A brief history of humankind, Random House, 2014, p.16.

     ② 번역서의 경우 ‘저자명, 역자명, 서명, 출판사명, 출판년도, 인용쪽수’ 순으로 쓴다.       데이비드 메이슨 저, 신동욱 역, 『山神-한국의 산신과 산악 숭배의 전통』, 한림출판사, 2003, 388~393쪽.
     ③ 판수가 처음 출판연도와 다를 경우 괄호로 인용한 저서의 판수가 출판된 연도를 적는다.       마대정 외, 서길수 역,『古代中國高句麗歷史續論』, 사계절, 2003(2006), 32쪽.

   (3) 논문
     ① 연속간행물 속의 연구논문 출전 표기는 ‘저자명, 논문명, 간행물명권호, 발행기관, 발행시기, 인용쪽수’ 순으로 쓴다. 논문명에는 낫표(「 」)를,
           간행물명에는 겹낫표(『 』)를 쓴다. 하나의 권에 여러 호가 있는 경우 권을 먼저 표기하고 괄호 안에 호를 적는다. 영문으로 된 경우 순서는 동일하
           되, 논문명에는 겹따옴표(“ ”)를, 간행물명은 이탤릭체로 표기한다. 발행기관은 생략할 수 있다.       김철수,「동북아의 백산신앙과 백두산-토착성과 월경성」,『동북아고대역사』3, 2020, 99~103쪽.
      방민규,「고인골 자료로 본 시베리아 연바이칼 지역의 신석기시대 생계체계의 변화양상에 대한 연구」,『한국시베리아연구』24(1), 2020,
                150쪽,
      田華⋅王承海, 「倭肯哈達洞穴墓葬和小南山M1 出土玉器的比較研究」, 『北方文物』2004年 2期, 15쪽.
      大岡由記子, 「畿内の石製模造品製作と祭祀」,『季刊 考古学』96, 2006, 56쪽.

     ② 학위논문의 경우 ‘저자명, 논문명, 학위수여기관 학위명, 제출시기, 인용쪽수’ 순으로 쓴다. 논문명에는 겹낫표(『 』)를 쓴다.       신용하,『독립협회의 사회사상의 사회학적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99~103쪽.

     ③ 서양논문인 경우 순서는 동일하되, 논문명에는 큰 따옴표(“ ”)를, 간행물명은 이탤릭체로 표기한다.        McCorriston, J., and F. Hole, “The Ecology of Seasonal Stress and the Origins of Agriculture in the Near East”, American Anthropologist
               93,
1991, pp.46~69.

     ④ 서양 학위논문의 경우 ‘저자명, 논문명, 학위명, 수여기관, 제출시기, 인용쪽수’순으로 쓰되, 논문명을 이탤릭체로 표기한다.        Bradbury, J.N, Landscapes of Burial? The Homs Basalt, Syria in the 4th-3rd millennia BC., Doctoral dissertation, Durham University,
               2011, p.5.

     ⑤ 단행본 속의 연구논문 출전표기는 ‘저자명, 논문명, 서명, 출판년도, 출판사, 인용쪽수’ 순으로 쓴다. 논문명에는 낫표(「 」)를, 서명은 겹낫표
           (『 』)를 쓴다. 해당 논문의 저자가 단행본 내 적시되어 있는 경우 편집자는 쓰지 않는다. 서양 문헌의 경우 순서는 동일하되, 논문명에는 큰 따옴표
           (“ ”)를, 간행물명은 이탤릭체로 표기한다.        최몽룡,「다원론의 입장에서 본 한국문화의 기원과 시베리아」,『한·러 공동발굴 특별전 아무르·연해주의 신비』, 국립문화재연구소,
               2006, 45~48쪽.
      신종원·오길환,「일본 야마나시현, 나가노현의 고대 한국관련 신사와 사찰 조사보고」,『한국신을 모시는 일본의 신사 2』, 민속원,
               2009, 12쪽.

   (4) 기사
     ① 기사를 인용할 경우에는 기자명, 기사명, 신문사명, 보도일자, 인용면수 순으로 표기한다. 기사명에는 낫표(「 」)를, 신문사명은 겹낫표(『 』)를                 쓴다. 인용면수는 생략할 수 있다.      유석재, 「고대사·김치·한복… 中 대놓고 ‘문화 공정’」,『조선일보』, 2022.2.7, A2면.
      李有騫, 「開啓中國玉器起源新紀元-深度探尋黑龍江饒河小南山遺址」, 『東北網』, 2020.5.13.

     ② 인터넷 기사일 경우 기자명, 기사명, 신문사명, 보도일자, URL 순으로 표    기한다. 기사명에는 낫표(「 」)를, 신문사명은 겹낫표(『 』)를 쓴다.       정경희, 「스사노오가 이끄는 제철·무사세력의 수호신 문제」,『코리안스피릿』, 2017.8.27, http://www.ikoreanspirit.com/news/articleView.
               html?idxno=48729.

   (5) 인터넷 자료
          인터넷 자료를 인용할 경우에는 사이트명, 주제명, URL, 접속일자 순으로 표   기한다. 주제명은 낫표(「 」)를 쓰며, 접속일자는 접속일:년월일로
          표기한다.      內蒙古自治區文化和旅遊廳, 「國家級文保單位名錄」, https://wlt.nmg.gov.cn/ggfw/gjjwbdwml, 접속일: 2022.1.15.
   (6) 미디어 자료
     ① 유튜브 또는 기타 스트리밍 사이트 영상의 경우 저자명, 영상제목, 채널정보, 게시일, 미디어형식, 영상서비스 사이트명, URL순으로 쓴다.
           저자명을 알 수 없는 경우 채널명으로 대신한다. 영상제목은 큰 따옴표(“”)로 표시한다.       김준홍, “어떻게 호모 사피엔스는 지배적 동물이 되었나?”, 카오스사이언스, 2019.9.16, 동영상, 유튜브, https://youtu.be/Ts8CxM89KVE.
      SCIENCE CHANNEL(JST), “タクラマカン砂漠大紀行 ~消えゆく大河を追う~”, 2014.1.15, 동영상, 유튜브,
                 https://youtu.be/ZZLMnUWES9I.

     ② 영화 또는 다큐멘터리의 경우 감독이름, 제목, 제작사, 연도, 미디어형식 순으로 쓴다. 제목은 큰 따옴표(“”)로 표시한다.        김현기 연출, "코리안이브 1편 가덕도 7천년의 수수께끼", KBS, 2014.12.4, 다큐멘터리.
      Cameron, J.F. Director, "Avatar", 20th Century Fox, 2009, 영화.

     ③ 사진 또는 이미지의 경우 작가명, 작품 제목, 연도, 출처, 장소, 형태 순으로 쓴다.        채용신, "면암 최익현 초상", 1925, 국립현대미술관, 대한민국, 한국화.
   (7) 기타 외국 언어로 된 자료의 인용 시 필요에 따라 원어를 제시하되, 출전을 분명히 밝힌다.

   (8) 같은 주(註)에서 2편 이상의 논저를 제시할 경우, 세미콜론( ; )으로 구분해 주고 그대로 이어서 쓴다.
      윤내현, 『고조선연구』, 일지사, 1995, 354쪽 ; 유태용, 「한국 청동기시대 환상열석에 대한 소고」, 『동북아고대역사』2, 2020, 29~30쪽.

   (9) 재인용의 경우 인용 원문 뒤 괄호 안에 재인용한 논저를 명시한다.
      박선희, 『고조선문명의 복식사』, 지식산업사, 2018, 364쪽(박선희,『고조선 복식문화의 발견』, 지식산업사, 2011, 17쪽에서 재인용).
  3) 인용쪽수 표기
   (1) 동양문헌의 한 쪽 : 123쪽
   (2) 동양문헌의 여러 쪽 : 123~125쪽
   (3) 서양문헌의 한 쪽 : p.123
   (4) 서양문헌의 여러 쪽 : pp.123~125
10. 참고문헌  1) 참고문헌은 본문과 각주에서 언급된 문헌정보만을 밝히며, 쪽수를 쓰지 않는다.

 2) 문헌정보의 제시 순서
      1.원전, 2.발굴보고서, 3.단행본, 4.논문, 5.신문기사 및 기타의 순으로 하고, 각각은 한국문헌, 중국문헌, 일본문헌, 기타 동양문헌, 서양문헌 순으로 배치하며 그 순서는 저자명을 기준으로 동양문헌은 가나다순으로, 서양문헌은 알파벳순으로 한다.

 3) 널리 알려진 고전의 경우 저자명을 생략하며, 서명에는 겹낫표(『 』)를 표기한다.   『三國史記』, 『高麗史』
 4) 단행본은 ‘저자명, 저서명, 출판사명, 출판연도(판수가 처음 출판연도와 다를 경우 괄호로 인용한 저서의 판수가 출판된 연도를 적음)’를 표기한다.
      서명은 겹낫표(『 』)를 쓰며, 서양문헌일 경우 글제목이나 서적명은 이태릭체로 표기한다. 번역서는 원저자, 번역자, 저서명, 출판사명, 출판연도 순          으로 쓴다. 서명은 겹낫표(『 』)를 쓴다. 서양문헌일 경우 서명은 이태릭체로 표기한다.       정경희, 『백두산문명과 한민족의 형성』, 만권당, 2020.
   Oliver, D., A Solomon Island Society: Kinship and Leadership Among the Suai of Bougainville, Harvard University Press, 1955.
   보꼬벤꼬 N·레그란드 S 저, 정석배 역, 『동부 유라시아 미누신스크 분지의 고대문화들 (기원전 4~1천년기)』, 단국대학교출판부, 2015.

 5) 연구논문은 ‘저자명, 논문명, 간행물명권호, 발행연도’ 순으로 쓴다. 논문명에는 낫표(「 」)를, 서명은 겹낫표(『 』)를 쓴다. 하나의 권에 여러 호가
      있는 경우 권을 먼저 표기하고 괄호 안에 호를 적는다. 영문으로 된 경우 순서는 동일하되, 논문명에는 겹따옴표(“ ”)를, 간행물명은 이탤릭체로 표기한
      다.    유태용, 「韓國 舊石器時代 陰刻紋의 檢討」,『미술문화연구』10, 2017.
   Ackerman, L. A., “Nonunilinealr Descent Groups in the Plateau Culture”, American Ethnologist 21(2), 1994.

 6) 학위논문은 ‘저자명, 논문명, 학위수여기관 학위명, 발행시기’ 순으로 쓴다. 서양논문의 경우 ‘저자명, 논문명, 학위명, 학위수여기관, 발행시기’ 순으로        하되, 논문명은 이탤릭체로 표기한다.     박선희,『서한 제국의 건국과 서이등 봉건』, 단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6.
    Cohen, Rudolph, The Settlement of the Central Negev, Doctoral dissertation, Hebrew University, 1986.

 7) 기사는 ‘기자명, 기사명, 신문사명, 보도일자’ 순으로 표기한다. 기사명에는 낫표(「 」)를, 신문사명은 겹낫표(『 』)를 쓴다. 인터넷 기사도 동일하다.     이기환, 「'백제의 요서경략' 설파하면 '사이비' '국뽕'인가」, 『경향신문』, 2021.8.10.
    이용권, 「유라시아대륙 언어 확산, 유목민 때문 아닌 농업 확산이 원인」, 『문화일보』, 2021.11.12.

 8) 인터넷 자료는 사이트명, URL 순으로 표기한다.     에르미타쥬박물관, http://www.hermitagemuseum.org.

 9) 미디어 자료는 유튜브 기타 스트리밍 사이트 영상의 경우 저자명, 제목, 채널정보, 게시일, 미디어형식, 영상서비스 사이트명, URL 순으로 쓴다.
      영화 또는 다큐멘터리의 경우 감독이름, 제목, 제작사, 연도, 미디어형식 순으로 쓴다. 제목은 큰 따옴표(“”)로 표시한다.      윤명철, “고조선의 홍익인간 사상과 현대적 가치”, 국학TV, 2021.11.22, 동영상, 유튜브, https://youtu.be/0c7SsNQgyUs.
    진기웅·손현철 연출, “몽골리안 루트 5부 그뤼포스의 후예들”, KBS, 2001.3.6, 다큐멘터리.
11. 원고형식   원고형식은 다음과 같다.
    ① 용지 종류 : A4(210 x 297mm)
    ② 용지 여백 : 위 20.0pt, 아래 15.0pt, 왼·오른쪽 30.0pt, 제본 0.0pt, 머리말 15.0pt, 꼬리말 15.0pt(한글 프로그램 최초 설정 상태)
    ③ 줄 간격 : 180%
    ④ 글자 모양 : 장평 100%, 자간 0%, 크기 10.5pt, 바탕
    ⑤ 문단 모양 : 왼·오른쪽 0.0pt, 들여쓰기 20.0pt
    ⑥ 각주 : 글자크기 9pt, 줄간격 130%, 왼·오른쪽 0.0pt, 내어쓰기 10.0pt
    ⑦ 인용 : 글자크기 9pt, 줄간격 130%, 왼·오른쪽 20.0pt, 내어쓰기 20.0p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