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https://doi.org/10.47527/JNAH.2025.08.13.175

 

▎목차

Ⅰ. 머리말 

Ⅱ. 한국 상고시대 체육의 철학적 기반

   1. 존재론적 기반: 현묘지도와 신교(神敎) 문화

   2. 수련 체계의 핵심: 천부경과 정기신 사상

   3. 수련 방법론: 삼일신고의 지감ㆍ조식ㆍ금촉

   4. 이념의 사회적 구현: 홍익인간과 제천의식

Ⅲ. 동서양 고대 체육의 철학 비교

   1. 고대 그리스 체육: 경쟁적 탁월성(Arete)과 외면적 조화

   2. 고대 인도 체육: 해탈(解脫)을 향한 내면적 탐구, 요가

   3. 고대 중국 체육: 무위자연(無爲自然)의 양생(養生) 문화

   4. 종합 비교: 단군조선 체육 철학의 독자성과 보편성 Ⅳ. 상고 체육의 현대적 계승, 단학

   1. 단학의 정기신 원리와 통합적 수련 체계

   2. 신체[精], 호흡[氣], 정신[神] 수련의 구체성

   3. 뇌과학적 접근과 현대 교육에의 적용

Ⅴ. 전통 체육의 역사적 변천과 현대적 과제

   1. 전통의 계승: 고구려 선배(仙輩)와 신라 화랑도(花郎徒)

   2. 사상적 전환과 전통 체육의 쇠퇴

   3. 현대 단학을 통한 재창조와 세계화 Ⅵ. 맺음말

   1. 연구 요약 및 시사점

   2. 연구의 한계 및 향후 과제

 

▎국문요약

이 글은 한국 상고시대로 일컬어지는 환인, 환웅, 단군의 역사를 체육이라는 관점으로 돌아보면서 체육이 단순한 신체 활동이나 운동 기법의 축적을 넘어서 한 사회가 지닌 정신과 철학, 인간에 대한 인식, 공동체 가치가 실천되는 문화적 행위로 해석할 수 있다는 점에서 한국상고체육에 대한 인식을 재고하고자 한다. 이는 체육사의 고찰이 ‘인간이 자신과 세계를 어떻게 인식하고 단련해왔는가’에 대한 통시적 탐구이며 각 문명권의 가치관, 종교, 정치체계, 인간관 등을 반영하는 중요한 문화 요소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고대 주요국들의 대표적인 체육 문화를 살펴보고, 한국상고체육과의 공통점 과 차이점을 비교함으로써 한국상고체육의 고유성과 철학적 특성을 더욱 명확히 조명 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한국상고체육의 사상과 체계를 조명하고, 현대 단학의 한국상고체육의 철학적 계승성과 그 효과를 논증함으로써, 단학이 단순한 민족 문화 유산을 넘어 세계적 통합웰니스철학으로 발전할 수 있음을 밝히고자 한다.

 

 

▎주제어

상고 체육, 선도 체육, 선도 문화, 단군조선, 고조선, 홍익인간, 이화세계, 단학, 정기신(精氣神), 천부경(天符經), 삼일신고(三一神誥), 천지인, 천손문화, 천제, 그 리스 체육, 요가, 도가(道家), 기(氣), 프라나(prāṇ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