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8 | [9집] Djurakulova Dilfuza_O’zbekistonning paleolit davri arxeologiyasi haqida tushuncha(2023.8.) | | 23-09-14 |
57 | [8집] 09.특별기고_최몽룡_동서문화교섭의 이해–스키타이⋅흉노와 한국 고대문화(2023.2.) | | 23-03-17 |
56 | [8집] 08.박진규_단군신화 스토리텔링을 위한 시고–근대출현 단군자료 《부도지》의 활용(2023.2.) | | 23-03-17 |
55 | [8집] 07.서영교_당의 해양력과 고구려 - 당의 2차 침공(647년) 이후를 중심으로(2023.2.) | | 23-03-17 |
54 | [8집] 06.홍인국_중국 중원일대 파경(破鏡) 풍습과 한반도 수용(2023.2.) | | 23-03-17 |
53 | [8집] 05.김주미_숨바섬 고인돌에 장식된 석물과 시문된 문양에 대한 고찰(2023.2.) | | 23-03-17 |
52 | [8집] 04.윤병모_후한시기 요동의 낙랑(2023.2.) | | 23-03-17 |
51 | [8집] 03.임재해_고대 제천문화의 제의양상과 공동체신앙의 존재양식(2023.2.) | | 23-03-17 |
50 | [8집] 02.이하우_천전리각석의 관점에서 보는 유라시아 마름모꼴 문양의 상징과 의미(2023.2.) | | 23-03-17 |
49 | [8집] 01.정경희_구석기시대 ‘주먹도끼 → 첨두기 → 모신상’으로 본 호모사피엔스의 ‘생명-공생문화’ (2023.2.) | | 23-03-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