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https://doi.org/10.47527/JNAH.2025.02.12.67

 

▎목차

Ⅰ. 머리말

Ⅱ. 고임 천장에 대한 선행연구

Ⅲ. 고임 천장의 유형과 출현 사례

   1. 고구려 벽화고분의 고임 천장

   2. 중국과 중앙아시아 고분과 불교 석굴의 고임 천장

Ⅳ. 고임 천장의 전파경로와 상징성

V. 맺음말 

 

▎국문요약

고구려는 초기 벽화고분인 357년의 안악 3호분에서부터 후기의 강서대묘까지 삼각 고임을 천장 형식으로 적극 채용하여 고분을 축조하였다. 유라시아 전역에 걸쳐 나타나 는 삼각 고임은 지역과 시기에 따라 고분과 신전 등 다양한 건축물에 실제 건축방식이나 장식으로 사용되었다. 삼각 고임의 두 가지 형식 가운데 모서리를 덮어 축조한 천장 건축으로는 고구려의 초기와 후기 고분에, 중국은 동한 시기의 산동지역의 화상석묘, 트라키아 석묘에 나타난다. 부조나 회화로 표현된 사례는 중국 서한 시기 낙양 공심전 묘, 동한 시기 하남 벽화묘와 사천 애묘, 위진 시기 감숙 고대 벽화묘, 남북조 시기 돈황 석굴, 운강 석굴, 키질 석굴, 아프가니스탄 바미안 석굴, 포라디 석굴, 이탈리아 에트루리아 고분 등이다. 

시기적으로 에트루리아나 트리키아의 석묘가 이르기 때문에 원류는 현재의 이탈리 아나 불가리아에서 동전한 것으로 보인다. 건축 형식으로 나타나는 사례는 주로 고분 건축에 보이며 고분을 축조하면서 돌을 다루는 기술이 발달한 고구려와 산동지역, 트라 키아지역에서 적극 채용되었다.

고구려 벽화고분은 100기가 넘는 벽화고분 내에서 발견되는 벽화의 다양한 생활풍 속과 신화, 그리고 삼각 고임을 포함한 뛰어난 건축기법으로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되 었다. 고구려 벽화고분의 건축기법의 하나인 삼각 고임은 고구려만이 아니라 유럽과 중앙아시아, 중국을 포함하는 광대한 지역에서 발견되는 건축 특징으로 고구려가 벽화 고분을 세우면서 고구려인들이 가졌던 뛰어난 건축기법 위에 유라시아의 다양한 건축 전통을 참고하여 복합적으로 구성해낸 것임을 알 수 있다. 

 

▎주제어

삼각 고임, 고구려, 유라시아, 트라키아, 고분